사회이슈방

🚛화물연대파업 총정리🚛

ㄷr붕이 2022. 6. 12. 02:00

다붕이의 알쓸신잡 Ep. 1

 

 

 

 

안녕하세요(*・▽・*)

 

오늘은 최근 이슈화되고 있는 화물연대파업 관련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이번 화물연대 파업으로 인해 여러 기업 및 화주들에게 큰 영향을 주고 있다고 하는데요..

 

일단 화물연대 총파업에 대해 몇 가지 알아볼까요?

 

 화물연대파업 배경

 

    ① 안전 운임 일몰제 폐지   

 

 

 

     잠깐 여기서! 안전 운임제란?
     - 과로·과속을 방지하기 위해 화물기사님들에게 최소한의 운송료를 보장하고, 그보다 적은 돈을 주는 화주에게 과태료를 부과하는 제도.

       

 안전 운임제는 2020년 1월부터 2022년 12월까지 3년 일몰제로 도입되었는데요.

 

       실제 안전 운임제 도입으로 화물차의 안전사고가 10% 이상 감소했다고 합니다.

 

       2022년까지이니,, 곧 종료를 앞두고 있네요..

 안전운임제 종료로 인해 전국 화물기사님들의 최저임금이 보장되지 않는 것이죠..

 

이에 화물연대에서는 안전 운임 일몰제 폐지안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안전 운임제 종료를 앞두고 있는 시점에서 법을 연장을 하거나 재정하는 정부의 움직임이 없어, 

발생한 게 주된 배경이라고 볼 수 있겠네요.

 

 

 

 

② 안전 운임제 확대

 

현재 안전 운임제는 수출입 컨테이너 및 시멘트 품목에 한에서만 적용 중입니다.

 

안전 운임제도 도입 당시 화물사업에 혼선 우려가 있어 특정 차종 및 품목에 대해서만 

적용한 것으로 보이는데요.

 

 

이에 화물연대 측은

 " 안전 운임제도를 전품목 , 전차종 적용 확대하라! " 

라고 요구하고 있습니다.

 

 

 

 

화물연대파업 진행상황

 

화물연대파업

 

  ① 화물연대파업 일정

 

일시: 2022년 06월 07일 00시 - 무기한 연장

 

장소: 부산항, 인천항, 평택항, 광양항, 울산항( 안전 운임제도가 수출입 컨테이너 차량에 적용되고 있다 보니, 무역 시장에 큰 영향을 주고 있네요..)

 

 

② 화물연대파업으로 인한 영향

 

금번 화물연대 파업 규모가 크고, 노조 강경 대응으로 여러 기업 및 시장에 차질을 빚고 있다고 합니다.

 

파업 6일 차인 오늘은 규모가 작아졌다고 하지만,

파업 당일에는 화물연대 조합원(2만 2천 명)의 약 30% 수준인 6천600여 명이 집회에 참여했다고 하네요..ㅎㄷㄷ

 

 

 

1) 수출입 물류 이동 '올스톱'

수출입 물류 이동 '올스톱'

노조원들이 항만 출입구를 차량으로 막는 방식으로 파업 진행 중이라고 합니다.

( 반출입 화물차량에게 계란을 투척하거나, 심한 경우 물리적 폭행까지..)

 

이로 인한 각 산업계에 미치는 물류대란의 파급력이 클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무역 업무를 하는 저도 파업으로 인해 업무량이 늘어서 힘드네요.. ( ˃̣̣̣̣o˂̣̣̣̣ )

 

 

 

 

2) 현대차 생산라인 차질

현대차 생산라인 차질

 

 

현대차 울산공장 납품차량 운전자 70% 이상이 화물연대 조합원인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화물연대 차량이 운송 거부에 들어가면서 , 생산라인에 차질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비노조 기사님들에게 의존하며 생산라인을 간신히 가동 중이라고 합니다.

현대차 주식 폭락하는 소리 여기까지 들림

 

 

 

 

③ 택배 노조에 미칠 영향

택배노조에 미칠 영향

 

저도 일주일에 한 번 정도는 택배를 받고 있는데요..

 

화물연대 파업의 확장될 경우 택배대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고 합니다.

 

서민들의 일상까지 위협받을 수 있는 상황이네요..

쿠팡 로켓 배송 무의미  -> 와우 회원 해지 

 

 

 

정부대응방안

 

 

정부대응방안

 

과거 화물연대 파업들의 정부 대응을 찾아보니,

물류 대란 최소화를 위해 대체 화물차 (비노조원들이겠죠..)를 수배하는 등

항만 통제를 막는 식으로 대응했다고 합니다.

 

금번 파업도 과거랑 비슷한 대응이나,

윤석열 정부 출범 후 첫 대규모 파업이라는 점에서 주목되고 있는데요.

 

윤석열 정부는 "법과 원칙에 따라 대응하겠다"는 방침을 밝혔습니다.

 

 

 

 

 

이것으로 화물연대 총파업 관련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정부 - 화물연대 간 협의점을 찾아, 더 이상의 피해가 없도록 조속히 마무리되었으면 좋겠네요..

 

 

감사합니다!